간첩 - 예고편과 다른 본편, 환불을 생각하다
예고편 보고 기다린 영화였는데
막상 본편을 보니 실망이다
이거 원
쉬리나 의형제를 믹서해놓은 듯한 어설픈 시나리오
우민호 감독의 전작이 "파괴된사나이"였다
당시 소리에 대한 대단한 연출력으로 상당히 좋았는데
하긴 그 영화도 시나리오는 종교에 대한 실체를 건드리지 못하고
이번 간첩도 내면을 파헤치지 못하고 겉만 번지르한 영화다
상당히 아쉽다
오랫만에 영화보고 돈 아깝다는 생각이 다 들었다
갑자기 할리우드 영화가 보고싶어진다
우선 가장 눈에 거슬리는 장면
리얼리티의 실종
처음부터 끝까지 코믹이었으면 이해한다
당연히 코믹으로 가니까 리얼리티 없어도 된다
그러나 이 영화는 코믹으로 시작해서 쉬리처럼 이념으로 흐른다
극중에 윤고문(변희봉역)이 하는 회상 장면
"박정희 시대가 좋았어"
당시 시대적 상황이 냉전시대여서 간첩으로서 상황이 좋았다는 뜻이겠지만
극 전반에 흐르는 상황을 본다면 그냥 그 시절이 살기 좋았다는 것으로 해석도 된다
대선이 100일 앞으로 다가온
민심변화의 최대 시기 추석에 개봉하는 영화가
이런 대사를 넣어서 개봉한다는 것은 다분히 정치적 의도가 보인다
이쪽도 아니고 저쪽도 아닌 진짜 간첩같은 이중성을 지닌 영화
치밀하지 못한 어설픈 시나리오로 급하게 찍어 개봉하는 듯한 인상
딱 하나 건진게 있다면 유해진
유해진의 연기력 멋지게 나왔다
다만 공사장에서 김과장(김명민역)의 이중성을 꾸짖는 장면에서는 과도한 오버액션
사무실에서 변희봉을 때리고 얼르는 장면에서 보여준 냉혈한 킬러의 느낌이
여기서는 그냥 동네 총각의 객기로 밖에 나오지 않는다
보통 권력을 가진 사람이 상대를 압박할 때는 소리를 지르지 않는다
귓속말로 얘기하는 것이 훨씬 오금이 저릴 압박으로 다가온다
이 장면빼고는 유해진의 연기가 가장 돋보이는 영화가 아닌가 싶다
<이 장면 스틸사진에서도 액스트라의 어설픈 연기가 보인다. 바로앞 운전자 전혀 박진감 없는 대피연기
통상 이런 상황이 벌어지면 당연히 사람들은 차에서 그냥 엎드려 있거나 엉금엄금 기어다니거나 하는 상황>
그리고 리얼리티의 부재
안가의 총격전도 있지만 그냥 패스하고
마지막 차량 총격전 장면
로버트 드니로의 히트에 나오는 유명한 총격전장면
그대로 옮긴 듯한 전개
그러나 전혀 총격을 살리지 못한 장면이다
유해진은 AK자동소총을 지니고 총격을 가한다
여기에 대응하는 우리측 요원은 그저 권총 한자루
일단 둘은 유효사거리 자체가 다르다
유효사거리란 상대에게 치명적인 상처를 주는 범위를 말하는데
쉽게 말해 총에 맞으면 죽을수 있는 거리라는 것이다
권총의 숫자가 아무리 많아도 AK자동소총을 대응한다는 것은 정말 어처구니 없는 상황
AK자동소총은 총알도 우리의 기관총과 같은 7.62미리의 대구경탄환을 쓴다
한마디로 근거리에서 맞으면 차도 어이없이 깨지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도 권총에 막혀 암살에 실패하는 상황설정은
리얼리티라고는 전혀 고려하지 않은 상황이다
의형제에서 북에서 내려온 킬러(전국환역)는 권총 하나로 차량 총격전을 멋지게 소화했다
실제 총격전같은 리얼리티를 그대로 담아서
그에 비한다면 간첩의 총격전 장면은 너무 어이없고
차량장면도 대부분 의형제의 장면을 그대로 옮긴듯하다
하지만 의형제에서 보여준 긴장감은 전혀 옮기지 못했다
차라리 처음부터 끝까지 코믹으로 갔어야 한다
어설프게 북과 남의 가족을 들먹이지말고
그리고 소키우는 청년(정겨운역)
이 배역이 왜 필요한지 모르겠다
그저 강대리(염정아역)를 등장시키고 풀어가기위해서 등장한 것인지
농민운동은 간첩이라는 것을 말하고자 하는 것인지
윤고문, 김과장, 강대리는 사회에서 그냥 묻혀서 간첩일 수 있다는 개연성을 주지만
우대리는 사람들에게 불필요한 혼선을 주는 인물설정이 아닐까
대선이라는 상당히 미묘한 시기에
이리저리 욕먹을 일 많은 영화로 보인다
대선을 마케팅 수단으로 택한 것은 아닌지 생각해본다
그래서 치밀하지 못한 시나리오로 급하게 편집하고 개봉한 듯한 느낌이 든다
환불받고 다른 영화 보고싶다